1분안에 읽는 바이오 주간뉴스. 바이오위클리는 매주 바이오 관련 최신 소식을 전달해 드립니다.
- "삼성바이오 날개 단다" 대법, 삼성 이재용 회장 전원 무죄 확정
- '무죄' 딛고, '특허' 쥐고…장맛비도 못 막은 삼성·알테오젠 질주
- 대웅제약 ‘나보타’ 中 심사 재개 … 연내 허가 기대감 ‘쑥’
- 알테오젠, 美 특허 이중 방어 완료… SC 제형 기술수출 날개 달아
- 계약서 보여줘' vs '안돼'... 리제네론-삼천당 아일리아 소송 신경전
- 美 FDA, 대우제약 인공눈물 수출 금지 조치 ... "품질관리 부실" 경고
- 대원제약 ‘펠루비정’ 제네릭 기업 2차 특허분쟁 시작
- SK플라즈마, 안동시와 혈장분획제제 인프라 투자 MOU 체결
- 파로스아이바이오 대표, 신약개발 성과 속 자사주 매입…기술이전 자신감 반영
- ‘5년 유예 종료’ 메드팩토, 첫 매출 발판 삼아 올해 관리종목 지정 피할까
- 써모피셔사이언티픽 "바이오 신약, 임상 IND까지 단 9개월 시대 열었다"
- 아침해의료기, 리브스메드 상대로 특허침해 소송 제기
- 경동제약 대법원 승소에도 '케이캡 특허 허들'은 높고 견고
- 트로델비+키트루다' 병용, 삼중음성 유방암 1차 치료 패러다임 바꿀 것
- 특허만료 ‘심퍼니’ 바이오시밀러 FDA 허가 접수 연속
- FDA, 202건 보완요구서한(CRL) 전격 공개… “급진적 투명성”으로 신약 승인 프로세스 개선 나서
=> "나 지금 떨고 있니?" FDA '보완요구서한(CRL)' 공개에 기업은 긴장 투자자는 환영
- ‘매일 약’ 시대 저문다…HIV 예방·치료, 연2회·장기지속형·유전자치료로 확장
- 애엽 등 동등성 재평가 계획없는 생약제제 대거 품목취하
- 정은경 후보자 "제네릭 약가 높아 보상체계 개편하겠다"
- 케어젠, 먹는 GLP-1 시대 개막... ‘코글루타이드’(Korglutide)’ 중동 및 북중미 시장 공급 개시
- 탈모인 8%만 약국行…탈모 시장, 떠오르는 약국가 ‘블루오션’
- 퇴행성 뇌질환, 글로벌 빅파마 다음 격전지로…K바이오도 신약·플랫폼 경쟁 격화
- EU AI법에 의료AI 업계 '긴장'... 데이터관리 위반 시 천문학적 페널티
- "신약개발 실패, 이유는 현장 단절" 바이오의약공방, 임상 수요 기반 모델 제시
-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, 잇단 M&A로 ‘외형 확대’·‘사업 다각화’에 속도
- '제네릭 경쟁 변수'로 떠오른 특허 '무효심결예고제' 논의 본격화
- 국산 바이오시밀러 25개, 영문 심사결과로 세계 시장 두드린다
- 글로벌 기술이전 지형도 뒤흔드는 중국 바이오, 빅파마 R&D 공백 채운다
- 뜨는 중국, 한국에 “혁신 함께하자”…바이오차이나, 서울서 첫 포럼 열린다
- 미국 인공 관절 시장, 스마트화 가속…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 열리나
- 상반기 건기식 시장, 어떤 일 있었나?
- 식약처, 6월 의료제품 101개 허가… 희귀의약품·디지털치료기기 첫 진입
- 이재명 정부 '국가 균형발전' 정책…제약바이오 주목할 지역은?
- 정은경 “‘불법 리베이트 근절’ 제도 보완해야…‘성분명처방’ 도입 협의 필요”
- 제조 강국 대한민국 의약품 생산 핵심 장치에 국산 장비가 없다
- 트럼프의 관세 압박은 기회… 기술수출로 증명한 K-바이오
- AI 기반 항체 바이오베터 개발 시동…복지부, 404억 투입
|
- HLB펩서 원료 공급한 '류프로렐린' 완제품 식약처 허가
- 젠바디, ‘hMPV 신속진단제품’ 식약처 국내 첫 허가 획득
- GC녹십자, 수두백신 '배리셀라주' 베트남 품목허가 획득
- 펩트론, 장기 지속형 치료제 플랫폼 적용한 '루프원' 품목허가 획득
- 앱클론, HER2 양성 위암 항체 AC101 글로벌 3상 미국 첫 투약
- 베노바이오, 황반변성 신약 ‘BBRP11001’ 글로벌 임상 1상 첫 환자 투여
- SK바이오사이언스, 21가 폐렴구균 백신 후보물질 중국 임상1·3상 승인
- SK바사, 면역증강제 적용 독감백신 "1/2상 IND제출"
- SK바사-사노피 개발 폐렴구균 백신, 中 1/3상 임상시험계획 승인받아
- 네오이뮨텍, CAR-T 병용 NT-I7 반복투여 임상 美FDA IND 신청
- 딥큐어, 복강경 RDN '하이퍼큐어' 심방세동 대상 식약처 임상시험 승인 획득
- 신라젠, 美 FDA에 ‘BAL0891+면역관문억제제’ 병용 임상 변경 승인 신청
- LG화학, 유니세프 소아마비백신 시장 1위 ‘유폴리오’ 추가 임상3b상 완료
- ‘케이캡’도 3상 마무리 … NSAIDs 병용 P-CAB 적응증 경쟁 본격화
- 셀트리온, ‘앱토즈마’ 임상 3상 52주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... 글로벌 시장 공략 박차
- 큐라클, 알츠하이머치료 후보물질 CU71 전임상 결과 발표
- 프로젠-라니, 경구용 GLP-1/2 전임상 "ENDO 발표"
|
- 한미약품, 대한검안학회과 '의료 빅데이터 구축' MOU
- HLB글로벌,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과 손잡고 의료·생활보조 로봇 개발
- 지투지바이오-베링거인겔하임,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 협력 확대…"제형 개발 추가 계약"
- 경동제약, 제제 기술력 기반 만성질환 복합치료제 및 제네릭 개발 가속화
- "메디브, KMI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… 시니어 건강 데이터 기반 ‘통합 케어 모델’ 개발 착수"
- 빅썸바이오-웰파인, 각성·집중력 향상 기능성 원료 공동개발 MOU 체결
- 애스톤사이언스, 스페인 써테스트와 항암백신 공동연구 계약
- 이뮤니스바이오, 프리클리나와 신약개발 협력강화 MOU 체결
- 케이메디허브, 서강대 G-LAMP 사업단과 전략적 신약 개발 MOU 체결
- 프로메디우스, 대한결핵협회와 결핵·골다공증 예방·조기 발견 MOU 체결
- 프리시젼, 씨티바이오와 면역진단제품 기술협력 계약
|
- 가임력 자가진단부터 커뮤니티까지, LG화학 가임 난임 앱 '블룸' 출시
- 대웅제약·씨어스테크놀로지, ESG 모델 ‘모비케어 리프레시’ 출시
- 셀레믹스, 롱리드 시퀀싱용 효소 기반 라이브러리 프렙 키트 출시
- 조아제약, 반려견 전용 의약품 및 영양제 '잘크개' 6종 출시
- 태극제약, 대구 간유 활용 눈 건강제 '아이액티브연질캡슐' 출시
|
- 노바티스, BAFF-R 타깃 항체 '이아날루맙' 히다라덴염 개발 중단
- 美 FDA 자문위, 英 GSK 다발성골수종 치료제 ‘블렌렙’ 부작용 우려로 승인 거부 권고
- 미국 환자 1,300만 PTSD 치료제 FDA ‘혁신 치료제’ 지정
- 바이엘, 비호르몬 폐경기 안면홍조 치료제 ‘린쿠엣’ 세계 최초로 영국서 승인
- 바이엘, 케렌디아 미국 FDA 심부전 적응증 승인 획득
- 치료 공백 심부전 시장에 케렌디아(Kerendia) 진입…미 FDA 적응증 확대 승인
- 카프리코, DMD 치료제 ‘데라미오셀’ 美 허가 반려…3Q 데이터 보완해 재신청
- FDA, 202건 보완요구서한(CRL) 전격 공개… “급진적 투명성”으로 신약 승인 프로세스 개선 나서
- FDA, 블렌렙 눈 독성에 ‘심각한 우려’…GSK 재승인 가시밭길
- 뉴클리듐, 시리즈B 9900만弗.."Cu기반 RPT 임상개발"(유료)
- 다케다, 핵심에셋 '오렉신 작용제' 기면증 3상 "성공"(유료)
- 레나산트, 시드 5450만弗..‘버텍스式’ 희귀신장질환 타깃(유료)
- 머크 ‘PD1xVEGF’ 라노바, 中시노에 “9.51억弗 피인수”(유료)
- 머크, '경구 HIV치료제' PrEP 3상 "내달 환자모집"(유료)
- 바르다, 시리즈C 1.87억弗..우주 미세중력 의약품 제조(유료)
- 베링거, '시판 IL-36R 항체' 레오파마에 "9천만€ L/O"(유료)
- 센티백스, 시리즈A 4500만弗..‘universal’ 독감백신(유료)
- 아이맵, 'CLDN18.2 항체' 中브릿지 "687만弗 인수"(유료)
- 아큐멘, 日JCR과 AD ‘BBB 플랫폼’ 5.55억弗 옵션딜(유료)
- 악티테라, 시리즈A 7550만弗.."공유결합 RPT 新접근"(유료)
- 오츠카, 자가면역 'IL1RAP 항체' 6.13억弗 사들여(유료)
- 일리미스, 시리즈B 580억..릴리와 'GAIA 플랫폼' 협력(유료)
- 트리오어, 시리즈B 225억 유치.."masking ADC 개발"(유료)
- AZ 알렉시온, ‘아밀로이드 섬유항체’ 3상 “1차 미충족”(유료)
|
- 의료기기 공통데이터모델과 AI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한 컨퍼런스 개최
- ’25년 6월 의료제품 허가 현황 안내
- 글로벌 약학인재 대상 견학 프로그램 성공적 마무리
- 국제약전인증협의체(PDG) 정회원 후보 선정
- 신속·안전한 제품화 위한 규제과학 전문인력 양성 본격화…13개 기관 지정
- 국내 개발 바이오시밀러 영문 심사결과 공개
- 한일 MOC(식약처-후생노동성) 10주년 계기, 의료제품 국장급 양자회의 개최
|
|